2025. 3. 30. 23:00ㆍ카테고리 없음
유동화전단채 피해자들 "우리 돈 먼저 돌려달라"... 신영증권에 공개간담회 요구
홈플러스가 회생절차를 신청하면서도 임원들의 급여는 그대로 지급받으려 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피해자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다. 30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김광일 공동대표를 포함한 임원 23명의 삼일절 연휴(3월 1~3일) 급여 4,125만원을 변제계획에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신들의 급여는 챙기면서 우리 돈은 10년 장기분할 상환하겠다는 건 말이 안 됩니다. 이것이 바로 홈플러스와 MBK의 실체입니다."
홈플러스 물품구매 전단채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 이의환 상황실장은 31일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히며 "우리가 사재출연해서 임원들 급여 4,125만원을 줄 테니, 우리 돈부터 돌려달라"고 요구했다.
홈플러스 측은 임원 급여와 관련해 "선의로 추후 지급해도 되냐고 법원의 허락을 구해 지급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지만, 피해자들은 "눈가리고 아웅식 답변"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비대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회생신청 과정에서 자구노력이나 경영진의 임금동결 등 위기경영을 위한 최소한의 노력조차 하지 않았다. 오히려 회생법원에 포괄허가를 신청해 임금과 납품업체 대금, 홈플런 등 세일행사를 특별히 허가받았으며, 카드사의 상계권까지 제한하는 신청을 통해 자신들의 이익을 철저히 챙겼다는 것이다.
특히 홈플러스는 3월 20일 신영증권이 보조참가인으로 참석한 '매입채무유동화 절차협의회'에서 유동화전단채 피해자를 위한 사재출연이나 우선변제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다음날에는 '상거래채권으로 취급해 전액변제'라는 표현을 사용해 마치 납품업체 대금처럼 즉시 변제할 것처럼 피해자를 오도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유동화전단채를 상거래채권으로 인정한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10년 장기분할 후순위로 변제하겠다는 의도"라며 "피해자들이 원하는 것은 상거래채권으로 취급만 할 것이 아니라 채무자회생법 제132조 제2항에 따라 회생법원의 포괄허가를 통해 즉시 상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김광일 MBK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의 행보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김 대표는 오스템 임플란트, 메디트, MH&Co, 네파, 딜라이브 등의 비상무이사를 겸직하고 있으며, 지난 28일에는 고려아연의 기타비상무이사로 이사회에 이름을 올렸다.
"김광일 대표는 자신은 한 푼도 손해보지 않으면서, 피해자들에게는 천문학적 숫자의 피해를 안기는 부실경영의 책임자입니다. 이익은 사유화하고, 위험은 사회화하는 전형적인 모럴해저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비대위 관계자는 "홈플러스의 근본적인 해법은 MBK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의 사재출연"이라며 "구체적인 일정과 규모를 밝히고 피해자들의 피 같은 돈을 당장 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비대위는 신영증권에 대해서도 4월 3일 또는 4일 금정호 사장과의 공개간담회 개최를 제안했다. 신영증권은 유동화전단체(ABSTB)를 발행하여 각 증권사를 통해 판매한 주간사로, 에스와이플러스제일차 또는 제이차(SPV)를 통해 카드사와 참가채권계약을 맺은 당사자다.
"신영증권이 MBK와 홈플러스를 상대로 고소·고발을 한다는 소식에 큰 기대를 했지만, 하나증권, 현대차증권과 달리 현재까지 미온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금감원 검사를 받고 있다는 이유로 직원들에게 피해자들과 접촉을 금지시키고,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는 것은 이해할 수 없습니다."
비대위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홈플러스 보도자료 내용에 대한 추가 설명, 절차협의회 당시 홈플러스의 발언 내용, 참가채권계약에 대한 의문점, 유동화전단채 설계·판매 과정의 의문점, 고소·고발 추진 지연 사유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증권업계 전문가는 "신영증권이 이번 사태에서 피해자인지 가해자인지 공동정범인지 분명한 입장을 정리하고 피해자에 대한 명확한 태도를 보여줘야 할 시점"이라며 "간담회 요청을 거부한다면 신영증권도 피해자들의 비난과 투쟁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비대위는 "신영증권 금정호 사장이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홈플러스의 회생신청을 '책임 회피성 기습 회생 신청'이라고 인정한 만큼, 피해자 구제를 위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